Levitating

Levitating

  • 분류 전체보기 (98)
    • 기술면접 준비 (1)
    • 운영체제 (2)
    • 임베디드 컴퓨터구조 (1)
    • 백엔드 개발 (Django) (0)
    • 알고리즘 (51)
    • fixing errors (8)
    • etc (3)
    • 파일시스템 (2)
    • 논자시 (8)
    • 파이썬 (4)
    • 취업 후기 (0)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RSS 피드
로그인
로그아웃 글쓰기 관리

Levitating

컨텐츠 검색

태그

c++ 코딩테스트 논자시 vscode 프로그래머스 백준c++ softeer 백트래킹 dp 백준 dfs 다이나믹프로그래밍 리눅스 BFS 코테 ISA 해시 디버깅 sk 하이닉스 코테 준비 알고리즘

최근글

댓글

공지사항

아카이브

논자시 알고리즘(1)

  • [서울대학교 논자시 준비] 알고리즘 : chapter 10 그래프 : dfs, bfs

    1. dfs와 bfs의 시간 복잡도 dfs와 bfs 모두 인접리스트, 인접 행렬로 구현할 수 있다. N이 그래프의 노드의 수, E가 그래프의 간선의 수라고 하자. dfs와 bfs 모두 인접리스트로 그래프를 구현했을 때 O(N+E)의 시간 복잡도를 가지며 인접행렬로 구현했을 때 O(N^2)의 시간 복잡도를 갖는다. 2. bfs 소스코드 C++ BFS(G, s){ for each v ( s visited[v] = NO; } visited[s] = YES; enqueue(Q, s) while (Q!=0){ u

    2023.08.26
이전
1
다음
티스토리
© 2018 TISTORY. All rights reserved.

티스토리툴바